보험, 그런데 왜 회사마다 다를까?
“보험은 많고, 보험사는 더 많다. 그런데 어떤 보험사가 어떤 상품을 파는지는 잘 모른다.”
이런 말, 주변에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.
실제로 보험 가입을 고민하는 분들 중 다수가,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보험의 분류 체계부터, 각 보험사가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까지 기본을 정확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.
1. 보험의 분류, 어떻게 나눠질까?
보험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. 바로 생명보험, 손해보험, 제3보험입니다.
구분 | 핵심 개념 | 주요 예시 |
---|---|---|
생명보험 | 사람의 생존 또는 사망을 보장 | 종신보험, 정기보험, 연금보험 |
손해보험 | 사고·질병·재산의 손실을 보장 | 자동차보험, 화재보험, 배상책임보험 |
제3보험 | 신체 손상 관련 보장 (생손해 중간) | 암보험, 실손보험, 수술·입원보험 |
이 구조는 보험업법 제3조와 금융감독원 기준에 따릅니다.
2. 생명보험사 vs 손해보험사, 기본 역할은 다르다
두 보험사는 운영 방식부터, 상품 구조, 계약 체결 방식까지 완전히 다릅니다.
생명보험사
- 사망, 질병, 노후 대비 중심
- 장기 보장과 적립 기능 혼합
- 예정된 사망이나 생존에 따라 보장금 지급
손해보험사
- 사고나 질병 발생 시 실제 손해 보장
- 1년 갱신형 실손보장이 중심
- 자기부담금 기반 실비 지급
3. 제3보험, 둘 다 팔 수 있다?
네. 제3보험은 생보사와 손보사 모두 판매 가능합니다.
상품 | 생보사 | 손보사 |
---|---|---|
암보험 | 정액형 진단금 중심 | 암 + 수술 + 입원 등 패키지 구성 |
실손보험 | 특약 형태 일부 판매 | 주력 판매 상품 |
치매보험 | 경증~중증 진단금 설계 | 장기요양등급 기반 월지급 설계 |
같은 ‘암보험’이라도, 어디서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상품이 됩니다.
4. 보험사의 정체성 요약
항목 | 생명보험사 | 손해보험사 |
---|---|---|
핵심 키워드 | 사망보장, 연금, 생존 | 사고보상, 실손, 손실보전 |
계약 기간 | 장기 (10년~종신) | 단기 (1~5년, 갱신형) |
수익 구조 | 예정이율 중심, 자산운용 | 손해율 중심, 사고 관리 |
다음 편 예고
2부에서는 상품 구조와 수익 모델, GA 중심 판매 전략 등 더 깊은 차이를 알아봅니다.
생보사와 손보사, 그 차이는 생각보다 더 크고 구조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