깡통전세 사기 수법 2부 | 이렇게 속입니다, 이렇게 당합니다
깡통전세 사기 수법은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.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그 메커니즘을 파헤쳐 보겠습니다.
깡통전세 사기 수법은 단순한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피해가 아닙니다.
집값보다 전세가가 더 높은 구조를 악용해, 일부러 보증금을 떼어먹는 목적의 ‘전세사기’는 명백한 범죄입니다.
1. 깡통전세 사기, 왜 증가하고 있나요?
최근 몇 년간 저금리와 부동산 규제 완화 속에 갭투자 확산, 전세가 상승, 청년·신혼부부 수요 집중이 맞물리면서 사기가 구조화됐습니다.
- 법인을 앞세운 다량 매입 → 시세 조작 → 고전세 계약
- 실소유자 확인 어려움 → 피해 입증 어려움
- 계약 이후 보증금 반환 책임 회피
이처럼 의도된 계약과 구조적 사각지대가 결합되면, 법적 보호도 받기 어려운 상황이 벌어집니다.
2. 깡통전세 사기 수법 유형 정리
유형 | 설명 |
---|---|
허위 시세 제시 | 시세보다 높게 조작된 매매가 또는 전세가로 유도 |
다수 계약 후 잠적 | 한 명의 임대인이 여러 명에게 전세 계약 후 돌연 연락두절 |
명의 대여 계약 | 명의만 빌려와 임대인처럼 위장하고 실제는 보증 책임 없음 |
등기부등본 조작 회피 | 확인 어렵게 만들거나, 열람을 막으며 계약을 서두르게 함 |
이 외에도 중개사 사칭, 이중계약, 가짜 감정평가서 등 수법은 계속 진화하고 있습니다.
3. 실제 깡통전세 사기 사례
서울 강서구 A빌라에서 발생한 피해 사례입니다.
- 분양가 1억 8천만 원짜리 신축 빌라
- 전세보증금 1억 9천만 원 계약
- 집주인: 다수 명의로 수십 채 보유 → 계약 직후 잠적
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했고, 등기부등본상 근저당이 숨겨져 있었던 점도 확인되지 않아 보증금 전액을 잃었습니다.
4. 깡통전세 사기 수법을 피하려면?
- 등기부등본은 반드시 열람하고 임대인 정보, 근저당, 소유관계 확인
-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
- 중개사의 중개보수 및 중개사무소 등록 여부 확인
-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80% 이상이면 계약 재검토
5. 한 번 더 강조합니다
깡통전세 사기 수법은 명백한 범죄입니다.
모르면 당하는 구조입니다. 시세 확인, 권리 분석, 보험 가입 여부까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.
신뢰할 수 있는 중개사를 통한 계약, 실제 현장 방문, 여유 있는 판단이 내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최소한의 방패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