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명보험사 vs 손해보험사 – 상품 구조와 수익 모델 비교
1부에서는 생보사와 손보사의 역할과 기본 구조를 살펴봤습니다. 이번에는 한 걸음 더 들어가 상품의 설계 방식, 수익 구조, 판매 전략까지 비교해봅니다.
1. 상품 구조의 핵심 차이
항목 | 생명보험사 | 손해보험사 |
---|---|---|
보험료 구조 | 보장 + 적립 혼합형 | 보장 중심, 순수소비형 |
해지환급금 | 존재함 (중도해지도 가능) | 없거나 매우 적음 |
상품기간 | 10~30년, 종신형 등 장기형 | 1~5년 단기, 갱신형 중심 |
설계 방식 | 사망/생존 중심, 고정형 설계 | 위험보장 중심, 유연한 담보 조합 |
2. 수익 구조 비교
생보사는 예정이율과 자산운용 성과가 중요하며, 손보사는 손해율과 보험금 지급이익이 핵심입니다.
항목 | 생명보험사 | 손해보험사 |
---|---|---|
수익 기준 | 예정이율, 위험률, 사업비율 | 보험료 – 지급보험금 – 사업비 |
주된 수익원 | 장기 자산운용 및 해지차익 | 보험금 절감 및 갱신 반복 수익 |
위험 관리 | 해약률, 금리위험 | 손해율, 빈도위험 |
3. 판매 채널의 차이
- 생보사: 전속 설계사 중심
- 손보사: GA(독립대리점) 및 온라인 채널 강화
디지털 채널 확장 측면에선 손보사가 한발 앞서 있습니다.
4. 고객 응대 방식
생보사는 ‘인생설계’ 기반의 상담, 손보사는 ‘위험보장’ 중심 설계를 주로 합니다.
- 생보사: “사망 보장 충분한가요?”, “노후 준비되셨나요?”
- 손보사: “병원비 대비는 어떻게 하세요?”, “골절·상해는 준비되셨나요?”
정리 요약
구분 | 생명보험사 | 손해보험사 |
---|---|---|
상품 성격 | 적립형, 보장형 혼합 | 소비형, 보장 집중 |
수익 방식 | 예정이율 기반 수익 | 손해율 중심 단기 수익 |
판매 채널 | 전속 설계사 | GA, 디지털 플랫폼 |
3부에서는 본격적으로 제3보험 시장에서 양 보험사의 경쟁 구도와 소비자 선택 기준을 다뤄보겠습니다.